비만은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.
비만은 체내 지방량을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 그러나 지방량을 정확히 측정하기가 어려워 간접적으로 평가하게 되는데, 그 중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(body mass index, BMI)와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것 입니다. 1


BMI에 따른 비만의 기준2

이 기준은 우리나라 성인에서 BMI에 따른 비만 관련 질환이BMI 25 kg/m2를 시점으로1.5~2배 증가하는데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.

▶체질량지수(BMI): 몸무게(kg)를 키의 제곱(㎡)으로 나눈 값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예: 신장 170cm, 체중 70 kg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24.2 (70/1.7) 1

비만은 과도한 음식 섭취 및 상대적인 활동량 감소로 인해 에너지 균형이 무너지고, 그로 인해 체지방이 증가되어 생깁니다. 하지만 식습관, 생활습관, 연령, 인종, 유전적 요인 등의 다양한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므로 어떤 한 가지 원인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. 1, 2

비만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 3

비만은 다양한 질병을 동반합니다. 3

이외에도 비만은 정신적, 심리적 및 사회적 측면 등 건강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이로 인해, 체중이 증가하면 수명이 줄어 들 수 있습니다.

체중이 증가하면 비만과 관련된 질환들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그 합병증으로 인해 수명이 짧아지게 됩니다. 결국 비만한 사람은 사망률이 20% 높아집니다.2,4

목표

비만 환자의 현실적인 목표는 5-10%의 체중을 감량하는 것입니다. 급격한 체중 감량이나 무분별한 약물치료는 부작용 및 다른 건강상의 위험을 일으킬 수 있고,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 5-10%의 체중감량으로도 비만과 관련된 질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. 비만치료는 단순히 체중만을 줄이는 것이 아니고, 건강문제를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. 2

치료 방법

비만의 기본적인 치료 방법에는 행동치료, 식사치료, 운동치료가 있으며, 약물요법은 이들의 보조적인 치료법입니다. 2

1) 식사치료 - 열량섭취는 제한하지만 필수 영양소는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. 필요한 열량보다 500 kcal 정도를 적게 섭취하는 저열량식은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며, 1주일에 0.5 kg 정도의 체중 감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 2

2) 운동치료 - 운동의 체중감량 효과는 다른 요법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적지만, 비만관련 질환의 유병률을 줄이고 건강과 관련된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. 또한 체중감소 후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 5

3) 약물치료

비만치료제는 비만을 완치하는 약이 아니며 체중에 대한 조절 및 관리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.

   - 장기적인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립된 것으로 시작합니다.
   - 비만 치료는 표준 체중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. 기존 체중의 5~10% 정도만을 감소하여도 건강상의 혜택이 있습니다.
   - 약물요법 시작 후 이상작용에 대한 관찰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. 5

비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.

 

  대한비만학회: https://www.kosso.or.kr/

  Rethink Obesity: http://global.rethinkobesity.com/

1. 대한비만학회, http://general.kosso.or.kr/html/?pmode=obesityCause,  accessed 2018-01-15
2. 대한비만학회, 비만치료지침 2012.
3. 대한 비만학회, http://general.kosso.or.kr/html/?pmode=obesityDisease, accessed 2018-01-15
4. 대한비만학회, http://general.kosso.or.kr/html/pmode=BBBS0001300001&smode=view&seq=696, accessed 2018-01-15
5. 대한비만학회, http://general.kosso.or.kr/html/?pmode=obesityCure#, accessed 2018-01-15